카테고리 없음

Aeroelasticity(공력탄성학)

smuff 2025. 2. 19. 18:54


aeroelastic flutter

공력탄성학(Aeroelasticity) 또는 공탄성은 탄성체가 유체 흐름에 노출되는 동안 발생하는 관성력, 탄성력 및 공기역학적 힘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물리학 및 공학의 한 분야이다. 공탄성 연구는 유체 흐름에 대한 탄성체의 정적 또는 정상 상태 응답을 다루는 정적 공탄성 및 신체의 동적(일반적으로 진동) 응답을 다루는 동적 공탄성의 두 분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.


공탄성 문제는 계산, 지면 진동 테스트 및 비행 플러터 시험을 통해 결정 및 검증할 수 있는 구조의 질량, 강성 또는 공기역학을 조정하여 방지할 수 있다. 제어 표면의 Flutter 는 일반적으로 질량 균형을 주의 깊게 배치하여 제거된다.
공탄성과 열역학의 합성은 공기열탄성(aerothermoelasticity)으로 알려져 있으며, 제어 이론과의 합성은 공기공탄성(aeroservoelasticity)으로 알려져 있다.


Belt Flapping, Creeping
벨트진동의 이상 현상

평행기의 경우 구동 풀리로 들어가는 쪽 벨트는 긴장 측(Tight Side)으로서 아래쪽에 위치 하고, 구동 풀리로부터 나오는 쪽 벨트는 이완 측 (Loose Side)으로서 위쪽에 위치한다. 이는 장력차로 인한 접촉각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.



풀리에 감긴 벨트부분 중 긴장 측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많이 신장되고 이완 측에 가까운 곳에 서는 적게 신장된다.
즉 벨트가 풀리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벨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달라져 변형량도 변화하게 된다.
이완 측에 가까운 부분에서 인장력의 감소로 변형량이 줄어들므로 벨트가 풀리 위를 기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.
이 현상을 크리핑(Creeping)이라 한다. 이 현상은 긴장 측과 이완 측 사이의 장력차가 클수록 비례하여 증가한다.
이것은 벨트 미끄러짐 (Belt Slip)과 구분된다.



벨트 미끄러짐이란 긴장 측과 이완 측 사이의 장력비가 너무 클 때(약 20배 정도), 즉 초기장력이 너무 작을 때 벨트가 풀리 위를 미끄러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런 현 상은 전달동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정지마찰력(수직력과 관계없음)을 발생하지 못한 데 기인한다. 이때 벨트가 미끄러지면 긁히는 소리가 나며 벨트에 열이 발생하게 된다.

또 축중심 간 거리가 긴 경우 고속으로 벨트전동을 하면 벨트가 파닥파닥 소리를 내며 파도치 는 현상이 발생하는데, 이 현상을 플래핑(Flapping)이라 한다.